현재 고교 1학년이 치르게 되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필수과목으로 지정된 한국사 시험 문제가 고난도 문항 없이 쉽게 출제된다. 학교 수업에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했다면 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절대평가제를 도입한다.
10일 교육부는 2017학년도 수능에서 출제될 한국사 시험의 출제방향과 문제유형, 예시문항 등을 공개했다. 상위권 학생 변별을 위해 고난도 문항을 일부 출제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수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정 수준을 넘으면 전부 1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절대평가(9등급) 방식으로 쉽게 출제한다.
고교 졸업자로서 갖춰야 할 한국사 기본 지식의 이해 정도와 역사적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10가지 문제유형을 출제에 그대로 반영한다.
교육부가 제시한 10가지 문제유형은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 알기 ▲역사에서 중요한 용어나 개념 이해하기 ▲역사적 사건의 흐름 파악하기 ▲역사적 상황 인식하기 ▲역사적 시대 상황 비교하기 ▲역사 탐구에 적합한 방법을 찾아 탐구 활동 수행하기 ▲역사 자료에 담긴 핵심 내용 분석하기 ▲자료 분석을 통해 역사적 사실 추론하기 ▲역사 자료를 토대로 개연성 있는 상황 상상하기 ▲역사 속에 나타난 주장이나 행위의 적절성 판단하기 등이다.
교육부가 공개한 안내자료에는 10가지 문항유형에 따른 12개의 예시문항이 제시되어 있으며, 안내자료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www.kice.re.kr) 와 수능정보제공 사이트(www.suneung.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12개의 예시문항은 10가지 문항유형별 및 내용영역별(선사시대~현대시기 별)로 고르게 구성됐다. 문항·내용유형별로 1~2개의 예시문항이 제시됐다.
2017학년도 수능 학국사 시험의 문항 수와 배점, 시험시간, 절대평가 등급 결정 방법 등은 전문가 및 관계자 의견 수렴을 거처 오는 8월 ‘2017학년도 수능 기본 계획’을 발표할 때 공개한다.
[answer 편집부] www.answerzone.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