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중ㆍ고등학교의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이 2008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29일 교육부는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110만 명을 대상으로 지난 6월 치른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분석한 결과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지난해보다 0.8% 포인트 증가한 3.4%로 나타났다.
기초학력 미달이란 보통학력 이상ㆍ기초학력ㆍ기초학력 미달 등 3단계 성취수준 가운데 최하위로 각 학년 학생들에게 기대되는 최소 목표 수준에 이르지 못해 별도의 보정교육 없이는 다음 학년의 학습활동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를 일컫는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2008년 8.0%를 기록한 이래 2009년 5.4%, 2010년 4.2%, 2011년 2.8%, 작년 2.6%로 계속 떨어졌다가 5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학년별로는 중3이 지난해 2.2%에서 올해 3.3%로, 고2는 3.0%에서 3.4%로 모두 증가했다. 과목별로는 중3의 경우 수학이 5.2%로 가장 높았고, 영어 3.4%, 국어 1.3% 순이었다. 고2도 수학이 4.5%로 가장 높았으며 국어 2.9%, 영어 2.8%로 집계됐다.
[answer 편집부] www.answerzone.co.kr |